화방사 입구 - 화방사에서 정상까지 1시간 30분정도 걸림- 산닥나무 자생지 -망운암 - 망운산 - 철쭉 군락지
망운산 등산로에는 4개의 코스가 있다.
제1 코스는 화방사 입구에서 출발하고
2코스는 오동저수지에서,
3코스는 신기마을에서 그리고
4코스는 서상마을에서 출발한다.
화방사 입구에서 정상까지의 2.97㎞ 코스는 약 1시간 20분이, 오동마을에서 정상까지 3.43㎞ 코스는
1시간 40여분이 소요되며, 신기마을에서 관대봉을 거쳐 정상까지의 4.41㎞ 코스는 2시간 가량이 걸린다.
마지막으로 서면 서상마을을 출발하여 수리봉(용두봉)을 거쳐 정상에 이르는 5.78㎞ 구간은 약 3시간이 소요된다.
남해바다 최고높이를 자랑하는 망운산여행 그러나 남해안 제1의 명산인 금산에 가려 진가가 꼭꼭 숨겨진 곳이다.
그리고 망운산을 오르는 사람은 이곳이 알려지길 두려워 한다. 깨끗한 풍모, 드넓은 기상, 아는 자만 오르리라.
금산이 남해를 찾는 손님들의 산이라면, 망운산은 남해인들이 가장 아끼는 늠름한 기상이다.
남해 여행시 꼭 들려볼만하다.
고현면 대곡마을에 있는 화방사에서 조용한 산사의 정적을 뒤로 하며 산길을 올라 정상에 오른다.
5월에는 철쭉군락지의 꽃들이 만개해 가족단위나 친목회등의 모임에서 많이 찾아 오며,
정상까지는 1시간 30분정도 소요된다. 남해대교에서 여행 안내판을 따라
남해쪽으로 10분 정도 가면 고현면 이어마을이 나타난다.
그곳에서 우회전하여 5분 정도 가면 화방사 입구 이정표가 있어 찾기 쉽다.
화방사 그늘에 차를 세워두고, 망운산 등산로로 들어선다.
길이 험난하지 않으므로 가벼운 마음으로 등반을 할 수 있다.
망운산 철쭉
망운사
고현면 대곡리에 위치한 화방사에서 산길을 따라 한참을 걷다보면 구수한 녹차향이 묻은 시원한 바람과
이따금 들리는 맑은 풍경소리가 산사의 적막함을 깨고 있는 망운암을 만날 수 있다.
망운암은 700년이 넘은 고찰로 동북으로는 지리산 천왕봉이, 서남으로는 백운산을 바라보는 곳에 자리잡았다.
지금의 망운암은 웅장하면서도 부드러움을 갖춘 암자라고 하기에는 규모가 큰 절이다.
30여 년전 망운암과 인연을 맺은 이절의 주지인 성각스님의 중생에 대한 사랑이 지금의 망운암을 있게 했다.
튼튼한 장정의 걸음으로도 2시간 이상 고된 산행을 해야 찾을 수 있던 망운암이였다.
우리네 어머니들의 안타깝고 애처로운 사연, 그 많은 사연을 가슴에 묻고 부처를 찾는 불자들의 고된 길을 안타깝게 여긴 스님은 대법회를 열고 전국의 불자들의 도움을 받아 차가 다닐 수 있는 길을 만들어 지금의 망운암을 있게 했다.
망운암에는 여느 산사에서는 볼 수 없는 특별한 전시관이 있어 불자들에게 또 다른 즐거움을 선사한다.
전시관 속 작은 화방에는 스님이 직접 그린 작품들이 전시돼 있어 스님의 작품세계를 감상할 수 있다.
묵향 가득한 이곳에서 스님은 선서화를 그리며 무상에 빠진다.
성각스님은 "이제 오래돼 곳곳이 무너져 내리고 있는 길을 새롭게 만들어 부처님의 가르침을 더욱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이 나의 또 다른 목표입니다"라고 말하며 넉넉한 웃음을 지었다.
망운암에서 바라본 남해의 절경은 산과 바다가 만나 힘있게 굽이치는 모습이, 부드러우면서 힘있는 성각스님의
선서화를 떠올리게 한다
남해 금산의 높이(681m)보다 100여 미터가 더 높고 가천다랭이 마을의 설흘산(482m)보다는 300여 미터나 높다.
전국 3대 기도처인 보리암이 있는 남해 금산과 사람들의 발길이 잦은 다랭이마을의 설흘산이 외지인들의 산이라면,
망운산은 이곳 토박이들이 가장 아끼고 좋아하는 산이다.
망운산의 최고 멋은 5월 어린이날을 전후하여 만개하는 철쭉군무다. 주봉에서부터 KBS 송신소가 있는 제2주봉까지
약 1.5㎞ 구간에 철쭉군락지가 형성돼 있는데 매년 5월 초에 그 자태를 뽐내며 장관을 이룬다.
산 정상에 올라서면 탁 트인 바다와 오월의 녹음, 선홍빛 철쭉의 군무가 산행의 즐거움을 배가 시킨다.
남해 여행 산행의 묘미는 정상에서 바라보는 시원한 바다의 전경이다.
멀리 꿈꾸듯 잠겨 있는 작은 섬들이 올망졸망 아름답기 그지없다.
정상에서 내려다보는 바다는 잔잔한 호수 같고 인근의 하동과 광양, 삼천포로는 한걸음에 내달을 듯 하다.
5월중순이 만개 일것같다.
'보물섬남해 > 남해의 사계절,토,일요 라이딩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쓰레기 메립장 변신은 무죄? (0) | 2011.05.23 |
---|---|
보물섬남해(원예마을) (0) | 2011.05.11 |
제7회 보물섬 마늘축제 (0) | 2011.05.03 |
고향은 지금 (0) | 2011.04.14 |
고향의 봄 (0) | 2011.04.09 |